고정금리
안녕하세요. 정보 크리에이터 정크입니다. 오늘은 고정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알아야지만 그 속에서 이득을 얻고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 알아보고 이왕이면 아이들과도 함께 공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고정금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 일반적으로 금리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하더라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같은 예금상품은 대부분 고정금리이며, 채권,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개발신탁 등도 고정금리를 줍니다. 이에 반해 변동금리는 적요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을 경우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유리하지만 대출초기금리가 변동금리보다 1% 이상 높습니다. 반면, 변동금리는 대출초기금리가 고정금리보다 1%이상 낮지만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고정금리보다 불리합니다. 또한, 금리가 불확정적이므로 안정적인 생활설계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어느 상품에 투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향후 금리 예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정기예금, 정기적금, 채권, 기업어음, 양도성예금증서 등 예금상품은 고정금리가 많은 반면에, 대출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향후 금리의 상승이 예측되면 고정금리로 대출받고 하락이 예측되면 변동금리로 대출받는 것이 좋으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금리의 하락이 예상될 때 고정금리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출금리의 결정
○ 대출을 받을 때 금리적용 방식을 결정하게 되는데 금리 적용방식은 크게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는 대출기간 동안 약정한 금리가 일정한 수준으로 고정된 경우를 말합니다. 변동금리는 대출기간 동안 적용되는 금리가 시장상황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말하는데, 3개월이나 6개월의 주기를 두고 시장의 기준금리에 따라서 조정됩니다.
○ 앞으로 금리가 내려갈 것을 예상한다면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하지만, 금리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년 이하의 비교적 짧은 단기대출이면 변동금리 대출이 유리할 수 있고, 3년 이상의 장기대출이면 금리변동의 불확실성에 크게 노출되기 때문에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 대출금리는 통상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차감하여 결정됩니다. 금융회사별로 기준금리를 별도로 적용하는데 기준금리는 금융회사간 단기자금거래에 이용되는 금리인 콜금리, 3개월 만기인 양도성예금증서(CD) 수익률, 그리고 9개 은행의 자금조달 가중평균 금리인 COFIX(Cost of Funds Index)가 많이 적용됩니다. 대출금의 원천은 은행들이 예금이나 차입 등으로 조달한 자금이기 때문에 기준금리에 이런 비용을 반영하는데, COFIX는 금융회사의 자금조달 비용을 반영한 이자율이라 할 수 있습니다. COFIX는 은행연합회가 조사하여 매월 발표하고 있습니다.
○ 기본금리는 대고객 적용금리 산출을 위한 기준이 되는 금리로, 실제 적용금리는 가산금리 및 우대금리가 가감되어 적용됩니다. 다만 대출상품에 따라 우대금리 폭이 다르거나 없을 수도 있으며 이는 고객별 신용상황, 대출조건, 은행거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가산금리는 고객별로 다르게 적용됩니다. 가산금리는 고객의 신용도, 담보여부, 대출기간, 거래실적 등 개인적인 요소와 금융회사의 영업비용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대출금융회사가 개별 고객에게 적용하는 추가적인 금리입니다. 대출기준 금리는 금융회사별로 차이가 있고 또 가산금리 역시 금융회사별로 또 개인별로 다르기 때문에 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실제 금리를 미리 잘 알아보아야 합니다.
대출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오늘은 <고정금리 변동금리>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을 더 보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추천 포스팅 및 관련 글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공감 및 구독, 응원의 댓글은 많은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시사경제용어사전, 시사상식사전,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
'시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부담금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12.23 |
---|---|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12.21 |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처벌,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사례 (0) | 2020.12.13 |
골드만삭스 금전망, 골드만삭스 회장 (0) | 2020.12.12 |
비트코인 시세, 비트코인 볼트, 비트코인 전망 (1) | 2020.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