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골드만삭스 금전망, 골드만삭스 회장

by 정보 크리에이터_정크 2020. 12. 12.

골드만삭스

안녕하세요. 정보 크리에이터 정크입니다. 오늘은 골드만삭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알아야지만 그 속에서 이득을 얻고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 알아보고 이왕이면 아이들과도 함께 공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골드만삭스에 대해 알아볼까요.

 

○ 1869년 독일계 유대인 마커스 골드만(Marcus Goldman)이 미국 뉴욕에 설립, 현재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활동하는 종합금융회사입니다. 설립 당시 어음거래회사로 출발하여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메릴린치(Merrill Lunch, 2008년 9월 BOA에 매각됨)와 함께 국제금융시장을 주도해 왔습니다. 증권상장/기업의 인수합병/채권 발행 등을 대행하거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등의 도매금융과 개인투자가의 투자금 운용/보험/증권업무 등의 소매금융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 2008년 9월 21일 미국의 양대 투자은행이던 모건스탠리와 함께 전통적인 상업은행 업무를 겸하는 은행지주회사로 전환했습니다.  본사는 미국 뉴욕에 위치해 있으며, 런던/프랑크푸르트/도쿄/홍콩/서울 등 전 세계 주요 금융센터에 거점을 두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최고경영자(CEO)는 변호사 출신의 로이드 블랭크페인(Lloyd Blankfein)이 2006년부터 맡아 오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는 1992년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였고, 1998년 12월 지점으로 승격시켰습니다. 그러나 2012년 11월 13일 골드만삭스는 증권사업 부문만 남기고 2007년 시작한 한국의 자산운용사업 부문을 철수시켰습니다. 골드만삭스는 4개 신흥시장인 브릭스(BRICs)의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습니다. 2005년 12월에는 거시경제의 안정성, 정치적 성숙도, 무역과 투자에 대한 공개 정도, 교육 수준을 고려한 차세대 11개국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방글라데시, 이집트, 인도네시아, 이란, 멕시코,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필리핀, 터키, 한국, 베트남이 포함되었습니다.

 

 

오늘은 <골드만삭스 금전망, 골드만삭스 회장>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을 더 보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추천 포스팅 및 관련 글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공감 및 구독, 응원의 댓글은 많은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기업, 시사경제용어사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