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복지 정보

가르시니아 부작용 꼭 확인하세요

by 정보 크리에이터_정크 2021. 3. 6.

가르시니아 부작용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체지방 감소 효과로 생리활성기능 1등급을 받은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체중 감량 효과가 아닙니다. 다만, 현재 생리활성기능 등급제는 폐지되었고, 2019년 8월 식약처는 가르니시아 캄보지아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평가를 "체지방 감소에 두움을 줌"에서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마케팅을 할 때는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포괄적으로 마하지만, 정확히는 ATP 시트르산 분해효소(ATP citrate lyase)가 시트르산을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되는데에 관여하는 중간물질인 아세틸 CoA로 전환시키는 것을 막는 것으로, 탄수화물이 지방산으로 전환되는 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서 꼭 필요한 물질을 만들지 못하게 하면서 결론적으로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위해 HCA를 지속적으로 섭취한다고 해도 그것이 마음 놓고 탄수화물과 지방을 섭취해도 된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면 살이 찌는 이유는 잉여 탄수화물이 지방산으로 전환되고 그것이 지방이 되어 지방조직에 저장되는 양이 늘어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신체가 탄수화물을 제일 먼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그동안 신체 지방조직에 저장된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HCA는 탄수화물의 지방 전환만 막아주지 탄수화물이 지방보다 먼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는 기능은 없습니다. 일부 HCA 함유 식품들이 '칼로리 컷팅제'라고 제품을 광고하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사살이 아닌 셈입니다. 그러므로 다이어트를 하고 싶은데 탄수화물 중독이라면 HCA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우선 탄수화물 섭취량부터 줄여야 합니다.

 

 

알레르기 체질이신 경우 성분을 확인 한 후 섭취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어린이 임산부 및 수유부는 섭취를 피하시기 바랍니다. 간/신장/심장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이 있거나 의약품 복용 시에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시고, 고칼슘혈증이 있거나 의약품 복용 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고, 이상 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과일 섭취와 관련된 부작용은 보고된 적이 없지만 보충제와 관련하여 보고된 부작용을 조심해야 합니다. 경미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강건조증

- 현기증

- 두통

- 배탈 또는 설사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 보충제를 복용한 후 치명적인 반응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심각한 부작용 중 하나는 간 건강에 대한 영향입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포함한 히드록시컷(Hydroxycut)이라는 브랜드의 보충제를 복용한 사람들의 경우 간에 심각한 문제가 일어났다고 보고되었으며 그 결과 FDA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성분을 함유한 체중 감량 제품에 대해 대중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또 다른 부작용은 당뇨병 약물과의 상호 작용성을 보입니다. 이 보충제를 복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이 위험한 수준까지 저하될 수 있는데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과도한 양의 추출물을 섭취한 쥐의 경우 고환 위축(고환의 수축)이 유발되었으며 정자 생산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편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한 한 여성은 일반 의약품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캡슐을 복용한 후 세로토닌 독성을 보였다고 보고 되었습니다. 이 보충제는 또한 치매나 알츠하이머병의 상태를 더욱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건강 및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빼기 비용 확인하세요  (0) 2021.03.09
불면증 해결하려면 BEST 추천 방법  (0) 2021.03.07
오마카세 뜻 확인  (0) 2021.03.02
재생크림 추천 BEST  (0) 2021.03.01
경추베개 추천 BEST  (0) 2021.0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