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복지 정보

태풍 시 행동요령 알아볼까요

by 정보 크리에이터_정크 2022. 9. 7.

태풍 시 행동요령

도움이 되실만한 정보를 모아 놓았으니 끝까지 읽어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제일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보세요. 관련 글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할지를 준비합니다.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2. 산간 ·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산간 · 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 · 건물 등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3.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가족과 함께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선박이나 어망 · 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6. 나와 가족, 지인들의 안전을 위해 외출은 자제하고 정보를 지속적으로 청취하며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 TV, 라디오 등을 통해 기상정보를 청취하여 내가 있는 지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줍니다.
・ 가족, 지인, 이웃과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위험정보 등을 공유합니다.
・ 차량은 속도를 줄여 운행하고, 하천변, 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이나 침수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말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줍니다.
・ 특히,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에서는 차량의 통행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7. 건물, 집안 등 실내에서의 안전수칙을 미리 알아두고 가족과 함께 확인합니다.
・ 건물의 출입문, 창문은 닫아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창문이나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도록 합니다.
・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급적 욕실과 같이 창문이 없는 방이나 집안의 제일 안쪽으로 이동합니다.
・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차단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 정전이 발생한 경우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휴대용 랜턴, 휴대폰 등을 사용합니다.

 


8. 위험지역은 접근하지 말고,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대피합니다.
・ 침수지역, 산간 ∙ 계곡 등 위험지역에 있거나 대피 권고를 받았을 경우에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합니다.
・ 특히, 주변에 연세가 많거나 홀로 계신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 대피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공사장, 전신주, 지하 공간 등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 농촌지역에서는 논둑이나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습니다.
・ 이동식 가옥이나 임시 시설에 거주할 경우에는 견고한 건물로 즉시 이동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지역을 알려줍니다.
・ 운행 중인 선박은 주변에 있는 선박이나 해경에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태풍의 이동경로에서 최대한 멀리 대피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주세요.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