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복지 정보

집중호우시 행동요령 알아볼까요

by 정보 크리에이터_정크 2022. 9. 8.

집중호우시 행동요령

도움이 되실만한 정보를 모아 놓았으니 끝까지 읽어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제일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보세요. 관련 글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1.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 · 군 · 구청에 신고합니다.

 

2.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 · 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3.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합니다.

・ 지역의 대피 장소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안전디딤돌 앱 등을 활용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4.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5.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합니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6.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 · 군 · 구청에 신고합니다.

 

7.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 · 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8.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합니다.

・ 지역의 대피 장소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안전디딤돌 앱 등을 활용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9.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10.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합니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11.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 · 군 · 구청에 신고합니다.

 

12.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 · 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13.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합니다.

・ 지역의 대피 장소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안전디딤돌 앱 등을 활용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14.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15.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합니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주세요.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