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색전증
양수색전증은 분만 진통 후기 또는 출산 후에 발열 없이 갑작스런 경련, 심폐 기능의 정지, 파종혈관내응고와 이로 인한 대량 출혈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양수색전증은 분만 진통 및 출산 시에 자궁의 정맥과 같은 모체 순환계의 일부가 손상되면서 양수나 태아의 조직이 모체 순환계 내로 유입되어 발생합니다. 양수 내의 물질 또는 태아의 조직으로 인해 모체의 염증 매개 반응 및 모체의 과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폐와 심장을 포함한 여러 장기의 손상과 파종혈관내응고, 이로 인한 대량 출혈이 발생하게 됩니다. 분만이 아닌 인공 유산, 낙태, 드물게는 복부 둔상, 외상, 태반 용수 박리 시에도 발생한 보고가 있습니다.
전형적인 양수색전증의 증상은 진통 중 또는 분만 후에 갑작스런 심폐 기능의 상실, 저혈압, 호흡 곤란, 경련이며 태아 서맥 및 태아 가사도 흔히 동반됩니다. 이러한 급작스런 증상에서 생존한 후에는 파종혈관내응고로 인한 출혈이나 호흡곤란증후군, 다기관 기능부전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분만 진통과 출산 직후에 발생하나, 드물게 인공 유산, 낙태, 양수 천자술, 복부 둔상, 수술적 외상 시에도 발생한 보고가 있습니다.
양수 색전증은 진통 중 또는 분만 30분 내외로 38도 이상의 발열 없이 심폐 기능의 정지, 저혈압 또는 호흡 곤란과 파종혈관내응고와 같은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진단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해 활력 징후 확인, 일반 혈액 검사, 혈액 응고 검사, 동맥혈가스분석, 흉부 방사선 검사, 폐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 조영술 등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양수색전증은 매우 치명적인 급성 질환이므로 다각적인 중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야 하며, 적극적인 산소 공급, 혈역학계 허탈의 교정,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가 대표적입니다. 정상 산소포화도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며, 저혈압과 쇼크를 치료하기 위해 충분한 정질액 공급하고 필요 시 승압제를 투약합니다. 혈액 응고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반복적인 혈액 응고 검사를 통해 적절한 혈액을 수혈합니다. 필요하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산모를 소생시킵니다. 만약 산모는 심정지 상태이나 태아는 생존해 있다면 응급 제왕절개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양수색전증의 모성사망률은 조사 기관에 따라 다르나 미국의 양수색전증 등록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61 %입니다. 사망은 대부분 심폐정지 시에 대부분 발생하고, 생존한다 할지라도 저산소증으로 인한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합니다. 주산기 사망률은 9-44 %로 다양하게 보고되나, 생존한 신생아에서 신경학적 장애가 없는 경우는 약 50%로 보고됩니다.
양수 색전증은 예측이 불가능하며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양수 색전증은 식이 요법이나 생활 양식 개선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건강 및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 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8.15 |
---|---|
방광염 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8.15 |
땀띠 가라앉히는 방법 알아볼까요 (0) | 2021.07.30 |
임신중독증 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9 |
심근경색 초기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