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수면은 우리 삶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강의 중요한 영역입니다. 낮동안 사용한 에너지를 잠을 통해 충전해야만 일상생활을 활력있고 건강하게 살수 있겠죠. 불면증은 잠들기 어려운 입면장애와 잠들 들지만 자는 도중 자주 깨거나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나는 수면유지 장애를 말합니다. 밤에 충분히 잠을 자지 못하면 수면 부족 상태가 되어 낮 동안 졸음, 피로감, 의욕 상실 등을 초래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죠.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난 한달간 불면증을 경헌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73.4%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 불면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면 그 원인을 찾아내고 치료한다면 양질의 수면을 할 수 있겠죠.
|
|
불면증 원인
성격적 이유
불면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꼼꼼하다거나 예민하다거나 걱정이 많은 성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꼼꼼한 사람들이라고 해서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불면증을 앓는 것은 아니듯, 꼼꼼함이 잠에 적용될 때에만 불면증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볼수 있겠죠. 그러나 불면증은 대개 복합적인 이유들로 나타나기 때문에, 성격만이 불면의 이유가 된다고 쉽게 단정 지을 수 있는 경우는 드물겠습니다.
생리적인 이유
불면증이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생리적 특성을 연구한 학자들이 많은데, 그들 연구 결과의 일부를 소개하겠습니다.
● 첫째, 불면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평소 근육의 긴장도가 높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면 신체 근육에 일시적으로 힘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불면증 환자들은 근육에 계속 힘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몸에 있는 근육들이 지치게 되고, 심하면 근육이 뭉쳐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불면의 고통보다 온몸이 뭉치면서 뻐근한 것이 더 힘들다고 하는 만성불면증 환자들도 많습니다.
● 둘째, 불면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평균적으로 긴장 뇌파를 더 많이 만들어 냅니다. 불면증이 심할수록 긴장 뇌파도 더 많아집니다. 이런 뇌파가 많이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뇌가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인 동시에 뇌가 지치고 피로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의 지속적인 긴장은 뇌의 기능을 떨어뜨리므로 오랫동안 불면증을 앓은 사람은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 불안증, 우울증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 셋째, 불면증 환자들이 긴장을 많이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피부전도측정으로 긴장의 정도를 측정한 학자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불편한 긴장과 지속적 긴장 상태인 경우는 손뿐만이 아니라 온몸에서 땀이 배출됩니다. 땀은 소금물과 같아서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피부에 전류가 흐르는 정도를 측정하면, 긴장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 불면증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피부의 전기전도가 더 잘 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습니다.
● 위의 이러한 소견들은 불면증 환자의 생리적인 특성, 즉 불면증 환자가 보통 사람보다 더 긴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불면증 환자들의 고통은 단순히 마음을 고쳐 먹는 것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이러한 생리적인 변화를 바꿔줘야 합니다. 명상, 이완운동, 심호흡, 숫자 거꾸로 세기, 요가, 필라테스, 잔잔한 음악 감상 등의 인지치료가 개인차는 있으나 효과를 어느정도 볼 수 있습니다.
불면증 치료
불면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잘못된 수면 습관입니다. 잘못된 습관을 수정하고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수면 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위생을 위한 10가지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낮잠을 피합니다. 밤에 충분히 자지 못하여 낮에 피곤하고 졸려서 낮잠을 자게 되면 밤에 잠을 못 자게 되는 악순환이 일어나므로 낮잠을 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수면 시간을 8시간으로 결정했으면 잠을 잤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침대에 눕기 시작한 수간부터 8시간이 지나면 일어나서 침대를 떠나야 합니다.
● 잠자리에 누워서 10분 이상 잠이 들지 않으면 일어나서 침대 밖으로 나와 단순한 작업을 하면서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때 TV를 보는 것보다는 책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 침대는 오로지 잠을 자기 위해서만 사용하고 다른 일을 하거나 생각하기 위해 침대에 눕는 것을 피합니다.
●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합니다. 주중에 수면이 부족했다고 해서 주말에 늦잠을 자지 않도록 합니다.
● 밤에 깨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습니다.
●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저녁 늦은 시간에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잠자리에 들기 약 2시간 전에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면 잠이 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수면을 방해하는 담배, 커피, 홍차, 콜라, 술 등을 피합니다. 술은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지만, 숙면을 방해하여 자주 깨게 하고 깊이 잠들지 못하게 하므로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 배고픈 느낌인 공복감도 잠들기 어려운 원인이 되므로 우유 등을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면 도움이 됩니다.
SMDR 데이 엔딩 슬립 스타트
판매처 64,500원
제품명 데이 엔딩 슬립 스타트
내용량 700m X 30정(21g)
건강기능식품 수면건강기능식품
제조원 콜마비앤에이치(주)
위낙제조자 (주)노바렉스
판매원 (주)바이오메스턴
소비자 상담실 070-4409-8590
<2020-07-02> 수면제 졸피드정 효능효과, 부작용, 주의사항
<2020-04-19> 수면제 레돌민정, 레돌민 효능효과, 주의사항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건강 및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메가 3 고르는 법 (0) | 2021.02.09 |
---|---|
백내장 치료 수술 (0) | 2021.02.08 |
가르시니아 다이어트 추천 (0) | 2021.02.06 |
에버콜라겐 알고 드세요 (0) | 2021.02.02 |
각질제거기 BEST 추천 (0) | 2021.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