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뇨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경우를 말하며, 성인의 경우 정상적으로 하루에 150mg 미만의 단백질이 소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흔히 건강검진에서 소변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수가 많습니다. 단백뇨가 있다고 항상 병적인 것은 아니며 열이 있거나 심한 운동 후 혹은 육류를 갑자기 많이 섭취한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단백뇨가 지속될 경우에는 사구체신염과 같은 신장질환 혹은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전신 질환에 의한 신장병증의 발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흔히 ‘거품뇨’, 즉 소변을 볼 때 유난히 거품이 많이 생기게 되고 또한 쉽게 거품이 가라앉지 않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소변을 통해 빠져나가는 단백질의 양이 적을 때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단백질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면 체내의 단백질이 정상보다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부종 즉, 발목 부위, 다리, 아침에 눈 주위가 붓는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더 심할 경우엔 폐까지 붓는 폐부종이 발생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똑바로 누워서 잠을 자기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고, 조금만 걸어도 호흡곤란이 생겨 거동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런 증상이 발생할 정도로 심한 단백뇨가 있는 것을 신증후군이라고 하며 조속히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흔히 오랫동안 고혈압 혹은 당뇨병이 있어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이로 인해 단백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장에서 혈액을 걸러내는 사구체에 질병이 생기는 경우(사구체 신염)에도 단백뇨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요로감염이 있을 경우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요스틱검사(dipstick)를 통해 단백뇨의 유무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음성, 1+, 2+, 3+, 4+ 등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스틱검사에서 단백뇨 양성 시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하루 소변 중에 단백질이 얼마나 배출되는지 24시간동안 소변을 모아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단백뇨의 검사입니다. 24시간 소변을 모으기 힘든 경우 간단히 소변 중 단백과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그 비를 계산하는 단백뇨 검사도 있습니다.
단백뇨가 양성일 경우 그 원인질환을 정확히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저염식이가 도움이 됩니다. 고혈압의 경우 철저한 혈압관리가 중요하며 당뇨병인 경우 혈당을 적극적으로 낮추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사구체 질환에 의한 단백뇨인 경우 각각의 사구체 질환 (예, IgA 신병증, 미세변화 신증후군, 막성 신증후군 등)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단백뇨가 지속될 경우 신장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 진료 및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건강 및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중독증 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9 |
---|---|
심근경색 초기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7 |
뇌경색 초기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6 |
이상지질혈증 이란 무엇일까요 (0) | 2021.07.21 |
위경련 증상 알아볼까요 (0) | 2021.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