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
핀테크 기업과 은행권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동결제시스템으로, 스마트폰에 설치한 응용프로그램(앱)을 통해 모든 은행 계좌에서 결제를 비롯해 잔액 조회, 거래내역 조회, 계좌실명 조회, 송금인 정보조회, 입금입체, 출금이체 등의 금융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9년 10월 30일부터 10개 대형 은행이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2019년 12월 18일 정식 운영되면서 은행 16곳과 31개 핀테크 기업에서 접근이 가능해졌습니다.
오픈뱅킹은 은행권 오픈 API를 활용해 구성하는데, API는 특정 프로그램의 기능,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 놓은 통신규칙입니다. 현재는 은행권만 이용할 수 있고, 은행도 본사 은행 계좌 기반 업무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동결제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핀테크 기업이나 타 은행의 결제망에서 사전에 정한 API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이로 인해 신생 핀테크 기업들이 즉각적으로 은행권 정보와 연계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고, 은행들도 고객 확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은행의 기존 모바일앱 등에 신설되는 오픈뱅킹 메뉴에서 타행 계좌를 등록하고 이용 동의를 하면 오픈뱅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은행의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은 계좌를 개설한 후에 이용 가능하며, 일부 은행에서는 입출금 계좌를 개설하지 않아도 은행 앱을 통해 오픈뱅킹의 이용을 허용합니다.
그동안 간편 송금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건당 400~500원인 시스템 이용 수수료를 내야 했습니다. 그러나 오픈뱅킹에서는 수수료를 건당 20~50원으로 대폭 낮춥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시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이란 뭘까요 (0) | 2021.06.24 |
---|---|
G20 국가 알아볼까요 (0) | 2021.06.23 |
트래블 버블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1.06.19 |
G7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1.06.19 |
공매도 알아보기 (0) | 2021.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