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도움이 되실만한 정보를 모아 놓았으니 끝까지 읽어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제일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보세요. 관련 글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난자와 정자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여 태아로 발육하는 과정입니다.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산모가 미리 준비하여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임신 전에 반드시 확인할 사항은 자신에게 어떠한 질환이 있는지를 아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임신 중에는 종종 고혈압이나 당뇨가 나타나는데, 이 중 일부는 임신 전부터 이미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뇨가 있는 경우 조절을 잘 하지 못하면, 임신 초기 유산이나 기형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므로 임신 전 및 임신 초기에 당 조절을 잘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경관 결손의 경우 흔히 발생하는 기형은 아니나, 엽산을 복용하면 예방 효과가 있어 임신 계획 기간부터 임신 14주경까지는 지속적인 복용을 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그 외에 풍진 항체 검사를 시행하여 항체가 없는 경우 미리 예방 접종을 시행합니다. 그 외에 산모가 아니더라도 시행하는 일반적인 건강 검진을 시행하여 개개인의 질환을 미리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최근에는 고령의 임신부(노산)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령 임신이라는 말의 정확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며, 35세 이상을 일반적으로 말하나 이보다 더 많은 나이를 고령 임신으로 정의하기도 합니다. 고령 임신 자체가 위험한 것은 아니며, 다만 나이가 들면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듯이, 임신 전부터 이러한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아지며, 임신 중에 새로이 발생하는 경우도 증가합니다. 또한 산모의 나이가 증가하면 염색체 이상의 빈도도 증가하므로 양수 검사를 통한 염색체 검사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임신 중 시기별로 나타나는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든 증상이 산모들에게서 똑같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입덧 같은 경우 어떤 산모들은 가벼운 오심(토할 것 같은 느낌) 정도에 그치는가 하면, 어떤 산모들은 거의 식사를 하지 못하고 체중까지 감소할 정도로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임신 중 체중은 11.5~16kg 정도 늘어나는 게 추천되며, 체중의 증가는 대개 임신 중기부터 시작되며, 후기가 되면 보다 급격히 증가합니다. 20kg 이상의 체중 증가가 있는 경우 거대아의 증가 및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실제 임신 중 추천되는 범위의 체중 증가를 벗어나는 경우가 1/3 이상으로 매우 흔합니다.
1) 임신 초기(임신 시작~14주)
아주 초기에는 생리가 없는 것 외에 자각 증상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6주경부터 입덧이 흔히 발생하는데, 대개는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그 정도가 심하여 식사를 거의 못하거나 체중이 감소할 정도라면, 수액을 통한 영양주사나, 입덧을 줄여주는 약물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과도하게 체중이 감소하고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 입원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속옷에 묻어나는 정도의 소량의 질 출혈이나 당기거나 찌르는 듯한 느낌의 하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덧의 경우 16주 이후에는 거의 사라집니다.
2) 임신 중기(임신 15~28주)
태아의 성장이 빨라지고 움직임도 왕성해지기 시작한 시기로 대개 임신 20주를 전후하여 태동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는 입덧도 사라지고, 다른 불편감도 많이 감소하여 임신 기간 중 산모에게 가장 편안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태동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주위에서도 알아볼 정도로 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3) 임신 후기(임신 29주~출산)
임신 후기로 접어들면서 배가 무거워지고 거동도 불편해집니다. 임신 후기에는 전체 수분량이 6.5~8.5ℓ까지 증가하여 산모의 체중이 증가하고 혈액 희석으로 인한 생리적 빈혈로 어지러움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자궁이 커져 횡격막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규칙한 세기의 자궁 수축이 마지막 달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마지막 1~2주에 자주 나타나기도 합니다.
정상 임신 : 초음파를 통해 자궁 내 아기집 정상 확인(약 5주경), 아기집 내 태아 존재 및 태아 심음 확인(6주 이후)
임신의 확인은 소변을 이용한 임신키트로 흔히 확인합니다. 이 키트는 소변 중의 HCG가 일정 농도 이상이면 양성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따라서 임신키트 양성이라는 의미는 임신과 관련한 호르몬이 상승하였다는 의미이지 정상적인 임신이 이루어졌다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자궁 외 임신과 같은 질환에서도 키트는 양성이 됩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임신의 확인을 위해서는 초음파를 통해 아기집이 자궁 내에 정상적으로 자리잡고(약 5주경), 그 속에 태아가 존재하며, 태아의 심음이 확인되어야(6주 이후) 비로소 정상적인 임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신 주기별로 필요한 검사들이 있습니다. 각 검사들은 시기별로 시행되며, 어떤 검사들은 반드시 정해진 기간 내에 시행하여야 하므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을 통해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령의 임신인 경우에도 검사의 내용은 같으며, 다만 분만예정일을 기준으로 만 35세 이상인 경우는 산모의 혈액을 이용한 기형아 검사를 하지 않고 바로 양수 검사나 융모막 검사를 통해 염색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1) 임신 초기(임신 시작~14주)
임신 초기에 시행하는 검사로는 초음파 검사와 몇 가지 혈청 검사가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처음에 배아가 정상적으로 자궁 내에 착상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후 심박동이 관찰되는지, 태아의 크기가 생리 날짜로 계산한 임신 주수와 일치하는지 봅니다. 또한 임신 10~14주경 태아의 목덜미 두께를 측정하여 기형아 예측 검사를 시행합니다. 그리고 일반혈액검사, 간염이나 후천성 면역 결핍증, 매독에 대한 혈청검사, 풍진 항체 검사의 피검사를 시행 받습니다.
2) 임신 중기(임신 15~28주)
15주에서 18주 사이에 산모 혈액을 이용한 기형아 검사(삼중표지물질검사, 사중표지물질검사)를 시행하여 태아의 개방 신경관 결손과 염색체의 이상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하며, 다운 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의 위험도가 높은 산모를 선별하여 양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임신 20주경에는 태아의 전반적인 구조적 이상 여부를 초음파를 통해 정밀하게 검사하며, 임신 24~28주 사이에는 임신성 당뇨 검사를 시행합니다.
3) 임신 후기(임신 29주~출산)
36주까지는 2주에 한 번, 그 이후에는 매주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산모의 건강과 태아의 성장을 평가합니다. 임신 중 빈혈이 발생할 수 있고, 임신 기간 중 철분 요구량이 가장 많은 시기이므로 철분제를 복용하고 28주에서 32주에 혈색소치를 검사하여 빈혈 수치를 확인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관련 글들도 방문해 주세요. 공유하는 것도 좋겠죠. 감사합니다.
'건강 및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수염 증상 자세히 알아볼까요 (0) | 2023.03.11 |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알아볼까요 (0) | 2023.03.11 |
갑상선 기능 항진증 증상 자세히 알아볼까요 (0) | 2023.03.09 |
통풍 증상 자세히 알아볼까요 (0) | 2023.03.08 |
공황장애 증상 자세히 알아볼까요 (2)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