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y 정보 크리에이터_정크 2020. 12. 21.
반응형

개별공시지가

안녕하세요. 정보 크리에이터 정크입니다. 오늘은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알아야지만 그 속에서 이득을 얻고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시사 경제에 대해 알아보고 이왕이면 아이들과도 함께 공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알아볼까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개별토지에 대한 단위면적당(원/㎡) 가격입니다.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시장/군수/구청장 등이 조사하여 산정한 공시지가로, 토지의 특성조사와 표준지 선정여부로 결정합니다.

 

 

○ 시/군/구는 중앙부동산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매년 공시된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전국의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공시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양도소득세/증여세/상속세 등 국세와 재산세/취득세 등 지방세는 물론 개발부담금/농지전용부담금 등을 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 해당기관이 공시지가를 고시할 때에는 일정기간 토지소유자들에게 열람을 시키거나 개별통지를 해야 합니다. 이때 이의가 있으면 30일 이내에 서면으로 해당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이의를 할 수 있으며, 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전국의 토지 중 대표성이 높은 표준지를 선정하고 단위면적(㎡) 당 적정가격인 공시지가를 결정합니다. 시장/군수/구청장은 표준지의 공시지가를 바탕으로 하여 개별토지의 단위면적(㎡) 당 적정가격인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합니다. 

 

 

개별공시지가

 

○ 개별토지의 용도(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등), 도로/교통조건, 토지이용규제사항 등이 유사한 표준지와 비교하여 토지가격비준표에 의해 그 차이에 따른 가격배율을 산출하고, 표준지공시지가에 가격배율을 곱하여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합니다.

 

개별공시지가 = 가격배율 X 표준지공사지가

 

 

 

개별공시지가는 시/군/구 부동산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되며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이의가 있는 경우 결정/공시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양도소득세, 상속세, 종합부동산세 등의 국세와 취득세, 등록세 등 지방세, 개발부담금, 농지전용부담금 등의 부담금 부과 시 가격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오늘은 <개별공시지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을 더 보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추천 포스팅 및 관련 글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공감 및 구독, 응원의 댓글은 많은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시사경제용어사전, 시사상식사전,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

반응형

댓글